냉장고는 음식 보관의 만능 해결사처럼 여겨지지만, 사실 모든 음식을 냉장고에 넣는 게 답은 아닙니다. 오히려 냉장고 안에 두면 맛이 변하거나, 빨리 상하거나, 영양이 줄어드는 식품들이 있죠.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무심코 냉장고에 넣지만 사실은 두면 안 되는 의외의 식품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감자·고구마: 냉장고 속에서 전분이 설탕으로 바뀐다
감자와 고구마는 많은 사람들이 오래 보관하려고 냉장고에 넣지만, 사실 냉장고 온도는 이들 뿌리채소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왜 문제일까?
냉장 온도(5℃ 전후)에서는 전분이 빠르게 당분으로 바뀝니다. 그 결과 감자는 단맛이 강해지고, 조리했을 때 조직이 물러지며 맛이 떨어집니다. 고구마도 마찬가지로 냉장 보관 시 특유의 포슬포슬한 식감이 사라집니다.
올바른 보관법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약 10~15℃)이 가장 좋습니다. 종이봉투나 신문지에 싸서 직사광선을 피하는 게 오래가는 비결입니다.
생활 꿀팁
감자는 사과와 함께 두면 좋습니다.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 가스가 발아를 억제해 싹이 덜 납니다.
2. 토마토: 냉장고에서 풍미가 사라진다
토마토는 무조건 냉장 보관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냉장고에 넣으면 금세 맛이 변합니다.
왜 문제일까?
토마토는 열대성 식물이라 12℃ 이하에서 보관하면 세포벽이 손상돼 조직이 물러지고 풍미가 사라집니다. “토마토는 달고 향긋하다”는 매력이 줄어드는 것이죠.
올바른 보관법
꼭지가 아래로 가게 하여 실온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너무 익어서 금방 상할 것 같을 때만 냉장 보관하세요.
생활 꿀팁
실온에서 보관하되, 조리 직전 1시간 정도 냉장고에 넣으면 시원한 식감도 즐길 수 있습니다.
3. 빵: 냉장고는 푸석푸석함을 만든다
아침마다 먹는 식빵이나 간식용 빵을 냉장고에 두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빵을 망치는 지름길입니다.
왜 문제일까?
냉장고의 낮은 온도는 빵 속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딱딱하고 푸석푸석하게 만듭니다. 차라리 상온에 두는 편이 더 오래 부드럽게 유지됩니다.
올바른 보관법
2~3일 내 먹을 빵은 밀폐 용기에 넣어 상온 보관하세요. 오래 두고 싶다면 냉동 보관 후 먹기 직전 자연 해동하거나 토스터에 구워 먹는 게 제일 좋습니다.
생활 꿀팁
식빵은 한 장씩 랩으로 싸서 냉동하면 꺼내 쓰기 편하고, 해동 후에도 촉촉함이 살아납니다.
4. 양파·마늘: 냉장고의 습기가 적을 키운다
양파와 마늘은 냉장고에 넣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는 곰팡이나 싹을 키우는 원인이 됩니다.
왜 문제일까?
냉장고 안은 습기가 많아 양파 껍질이 쉽게 눅눅해지고, 마늘도 곰팡이가 잘 납니다. 또한 다른 식재료에 냄새가 배기도 쉽습니다.
올바른 보관법
망에 넣어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걸어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햇볕만 피하면 몇 주 이상 신선하게 유지됩니다.
생활 꿀팁
반으로 자른 양파는 반드시 랩으로 단단히 싸서 냉장 보관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냉장고 전체에 양파 냄새가 밸 수 있습니다.
5. 꿀: 차갑게 하면 굳어버린다
꿀은 보관이 까다로울 것 같아 냉장고에 넣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꿀은 상온에서 보관해야 가장 좋습니다.
왜 문제일까?
냉장 보관하면 꿀 속 당분이 결정화되어 하얗게 굳고 딱딱해집니다. 그렇다고 상하는 것도 아니니 굳이 냉장고에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올바른 보관법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찬장에 두면 됩니다. 밀폐만 잘하면 몇 년 동안도 보관 가능할 정도로 안정적인 식품입니다.
생활 꿀팁
이미 굳어버린 꿀은 용기를 미지근한 물에 중탕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옵니다.
냉장고는 음식 보관의 필수품이지만, 모든 음식을 냉장고에 넣는 것이 답은 아닙니다. 감자·고구마, 토마토, 빵, 양파·마늘, 꿀은 오히려 냉장 보관 시 맛과 식감이 망가질 수 있습니다. 올바른 보관법을 알면, 음식도 오래가고 맛도 지킬 수 있죠.
이번 주말엔 냉장고 속을 한번 점검해 보세요. 무심코 넣어둔 식품들이 의외로 냉장고 밖에서 더 잘 보관될 수 있습니다.
작은 습관이 음식 맛을 크게 바꿉니다.